라벨이 파트너십 전략인 게시물 표시

STO 프로젝트 운영 조직 구성 전략|데일리 블록체인

이미지
  STO 프로젝트 운영 조직 구성 전략 ✔️ STO는 기술이 아니라 ‘조직’이 만든다 증권형 토큰(STO)은 단순히 스마트컨트랙트만 잘 짜면 되는 기술 프로젝트가 아닙니다. 실제 법률 구조, 발행 설계, 유통 인프라, 규제 대응, 투자자 커뮤니케이션까지 통합적으로 관리되어야 성공할 수 있는 복합 비즈니스입니다. 이런 특성 때문에 STO 프로젝트의 성공 여부는 팀의 구성과 파트너 네트워크에 크게 좌우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STO 프로젝트를 운영하기 위해 어떤 인력 포지션이 필요한지, 그리고 어떤 기준으로 외부 파트너를 선정해야 하는지를 중점적으로 분석해보겠습니다. ✔️ 내부 조직 구성의 필수 요소 STO 프로젝트는 다음과 같은 4개 핵심 기능에 따라 내부 인력을 구성해야 합니다. ① 전략 및 운영 : 전체 로드맵 수립, 파트너 조율, 이해관계자 대응 ② 기술 개발 : 스마트컨트랙트 개발, 보안 감사, 토큰화 플랫폼 연동 ③ 법률 및 규제 : 증권법 해석, 발행 구조 설계, 규제기관 커뮤니케이션 ④ 마케팅 및 커뮤니티 : 투자자 커뮤니케이션, 브랜딩, 자료 제공 특히 법률과 기술을 동시에 이해하고 조율할 수 있는 인재가 반드시 필요하며, 이러한 융합형 인재가 프로젝트 리더로 자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필수 인력 포지션별 역할 정리 STO 프로젝트에서 반드시 확보해야 할 주요 포지션은 다음과 같습니다. 대표/총괄(CEO): 외부 파트너 조율, 자금 조달, 프로젝트 운영 책임 CTO/개발 리드: 스마트컨트랙트 설계 및 블록체인 아키텍처 총괄 증권 법률 담당(General Counsel): 발행 구조와 규제 대응 설계 토큰 구조 설계자(Token Architect): 수익 분배 구조, 권리 구조 설계 파트너십 매니저: 거래소, 법무법인, KYC 업체 등과의 계약 조율 커뮤니케이션 매니저: 투자자 대상 문서, 미디어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