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 프로젝트 운영 조직 구성 전략|데일리 블록체인

 

STO 프로젝트 운영 조직 구성 전략

STO 운영 조직 구성 썸네일 이미지 - 데일리 블록체인

✔️ STO는 기술이 아니라 ‘조직’이 만든다

증권형 토큰(STO)은 단순히 스마트컨트랙트만 잘 짜면 되는 기술 프로젝트가 아닙니다. 실제 법률 구조, 발행 설계, 유통 인프라, 규제 대응, 투자자 커뮤니케이션까지 통합적으로 관리되어야 성공할 수 있는 복합 비즈니스입니다.

이런 특성 때문에 STO 프로젝트의 성공 여부는 팀의 구성과 파트너 네트워크에 크게 좌우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STO 프로젝트를 운영하기 위해 어떤 인력 포지션이 필요한지, 그리고 어떤 기준으로 외부 파트너를 선정해야 하는지를 중점적으로 분석해보겠습니다.


✔️ 내부 조직 구성의 필수 요소

STO 프로젝트는 다음과 같은 4개 핵심 기능에 따라 내부 인력을 구성해야 합니다.

  1. ① 전략 및 운영: 전체 로드맵 수립, 파트너 조율, 이해관계자 대응
  2. ② 기술 개발: 스마트컨트랙트 개발, 보안 감사, 토큰화 플랫폼 연동
  3. ③ 법률 및 규제: 증권법 해석, 발행 구조 설계, 규제기관 커뮤니케이션
  4. ④ 마케팅 및 커뮤니티: 투자자 커뮤니케이션, 브랜딩, 자료 제공

특히 법률과 기술을 동시에 이해하고 조율할 수 있는 인재가 반드시 필요하며, 이러한 융합형 인재가 프로젝트 리더로 자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필수 인력 포지션별 역할 정리

STO 프로젝트에서 반드시 확보해야 할 주요 포지션은 다음과 같습니다.

  • 대표/총괄(CEO): 외부 파트너 조율, 자금 조달, 프로젝트 운영 책임
  • CTO/개발 리드: 스마트컨트랙트 설계 및 블록체인 아키텍처 총괄
  • 증권 법률 담당(General Counsel): 발행 구조와 규제 대응 설계
  • 토큰 구조 설계자(Token Architect): 수익 분배 구조, 권리 구조 설계
  • 파트너십 매니저: 거래소, 법무법인, KYC 업체 등과의 계약 조율
  • 커뮤니케이션 매니저: 투자자 대상 문서, 미디어 대응, 커뮤니티 운영

해당 포지션은 초기 스타트업일수록 한 명이 여러 역할을 겸하는 경우도 많지만, STO 특성상 법률과 기술 인력을 반드시 분리 확보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 외부 파트너 선정 기준

STO 프로젝트는 내부 역량만으로 수행하기 어려운 분야가 많아, 법무법인, 기술감사기관, 거래소, 커스터디 업체, 마케팅 에이전시 등과의 협업이 중요합니다. 파트너 선정 시 고려할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 법무법인: 증권형 토큰에 대한 실무 경험, 각국 증권법 해석 능력
  • 감사기관: 스마트컨트랙트 보안 감사 경험 보유 여부
  • 거래소(ATS): 라이선스 보유 여부, 투자자 접근 범위
  • KYC/AML 서비스: DID 기반 인증 연계 경험
  • 마케팅 파트너: 금융/블록체인 이해도를 바탕으로 한 콘텐츠 제작 역량

파트너는 단순한 외주 관계가 아니라, 프로젝트 신뢰도와 직결되기 때문에 “실명 공개 가능한 파트너십”만을 채택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 실제 STO 성공 사례의 팀 구성 분석

성공적으로 발행 및 유통에 성공한 STO 프로젝트들은 공통적으로 팀과 파트너 구성이 명확합니다. 예를 들어,

  • RealT (미국 부동산 STO): 블록체인 기술팀과 부동산 법률 전문가가 공동 설립
  • Flowcarbon (탄소배출권 STO): ESG 정책 컨설턴트, 스마트컨트랙트 엔지니어, DAO 운영진으로 구성
  • ADDx (싱가포르 STO 플랫폼): 증권사 출신 CEO, MAS 출신 규제 전문 변호사, 테크 스타트업 개발팀

이처럼 팀의 배경이 프로젝트 성격과 잘 맞을수록 규제 대응과 투자자 신뢰 확보에서 유리한 포지션을 점할 수 있습니다.


✔️ 조직 구성 시 유의할 점

STO 프로젝트는 단기 투자 유치를 넘어, 제도권 금융 생태계와의 장기적 연결이 목표입니다. 따라서 조직을 구성할 때는 다음과 같은 원칙이 필요합니다.

  • 법률과 기술 인력은 반드시 확보
  • 대표자는 블록체인보다 금융 이해도가 높을수록 유리
  • 파트너와의 실명 계약 및 협약서 기반 구조
  • 내부 거버넌스 문서 작성 필수 (백서 외)

특히 금융당국이 시범사업이나 라이선스를 발급할 때 조직의 구조와 책임 명확성 여부를 중요한 평가 기준으로 삼고 있다는 점에서, 체계적인 조직 구성이 필수입니다.



📌 다음 글에서는 STO 프로젝트의 백서 작성 전략과, 투자자 관점에서 신뢰를 얻는 문서 구성 요소를 집중 분석해보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