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3 기반 IR 플랫폼 비교: Notion, Dune, Mirror|데일리 블록체인

 

Web3 기반 IR 플랫폼 비교: Notion, Dune, Mirror


Web3 IR 플랫폼 비교 썸네일 이미지 - 데일리 블록체인


✔️ Web3 시대, IR도 탈중앙화되고 있다

STO나 Web3 프로젝트는 발행 이후에도 투자자나 커뮤니티에게 지속적인 정보 공유가 필수입니다. 전통적인 IR은 공시자료나 보도자료 중심이지만, Web3에서는 블로그, 대시보드, 스마트컨트랙트 데이터까지 다양한 채널이 존재하죠.

이러한 흐름 속에서 프로젝트 팀들이 활용하는 대표적인 IR 플랫폼이 바로 Notion, Dune, Mirror입니다. 이 글에서는 각 플랫폼의 구조, 사용 목적, 장단점을 비교해 Web3 환경에 적합한 IR 전략 수립에 도움을 드리겠습니다.


✔️ Notion: 가장 친숙한 문서형 IR

Notion은 Web2 기반 협업 문서 플랫폼이지만, 많은 Web3 프로젝트들이 Notion을 공식 백서, 업데이트, 운영 문서의 저장소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구조화된 위키 가능: 토큰 정보, 팀 소개, 로드맵, 파트너십을 페이지 단위로 정리
  • 접근성: 모바일·데스크탑에서 누구나 접근 가능, 로그인 없이 공유 가능
  • 제한된 온체인 연동: Web3 연동 기능은 없지만, 깔끔한 문서 전달에 강점

특히 투자자 대상 정보 전달에서는 Notion이 가장 직관적이며, 커뮤니티 투명성을 높이기 위한 업데이트 로그나 팀 운영 보고서용으로도 널리 활용됩니다.


✔️ Dune: 온체인 데이터 기반 IR 대시보드

Dune은 온체인 데이터를 시각화할 수 있는 Web3 전용 대시보드 플랫폼입니다. 스마트컨트랙트의 거래 내역, 토큰 분배 현황, DAO 투표 결과 등을 SQL 쿼리로 가져와 차트화할 수 있는 것이 강점입니다.

  • 실시간 IR 가능: 수익 분배 현황, 홀더 지표, 유동성 현황 등을 자동 추적
  • 공개형 대시보드: 누구나 URL을 통해 해당 프로젝트 데이터를 열람 가능
  • DAO·STO 프로젝트: 스마트컨트랙트 기반 자산 운영 현황을 시각화

Dune은 기술력이 있는 팀일수록 잘 활용할 수 있으며, 투자자 신뢰 확보를 위해 프로젝트 메인 페이지에 삽입하는 사례가 늘고 있습니다.


✔️ Mirror: 탈중앙 블로그이자 Web3 콘텐츠 허브

Mirror는 이더리움 기반의 콘텐츠 발행 플랫폼으로, 블로그처럼 글을 쓰되, NFT 발행과 연동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고 있습니다. Web3 친화적이면서도 스토리텔링에 강점이 있어 IR/PR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

  • 탈중앙 콘텐츠 보관: 글이 IPFS에 저장되며, 검열 저항성 확보
  • NFT 민팅 기능: 백서, 이슈글을 NFT로 만들어 소유/배포 가능
  • DAO/커뮤니티 중심: 커뮤니티와 공감대 형성에 효과적

Mirror는 특히 커뮤니티 지향적인 프로젝트에서 활발하게 사용되며, 단순 문서 이상의 ‘브랜드 콘텐츠 허브’ 역할을 수행합니다.


✔️ 세 플랫폼 비교 요약

플랫폼 IR 기능 Web3 연동 추천 사용 사례
Notion 문서, 업데이트, 백서 정리 ❌ 없음 (Web2 기반) 초기 백서, 정보공개
Dune 온체인 데이터 시각화 ✅ 스마트컨트랙트 쿼리 토큰 분배 현황, DAO 운영
Mirror 스토리텔링, 블로그형 IR ✅ IPFS + NFT 민팅 커뮤니티 콘텐츠 중심 프로젝트

✔️ 프로젝트 성격에 따라 혼합 전략 필요

현실적으로는 한 가지 플랫폼만 사용하는 것보다는, 프로젝트 성격에 따라 혼합해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예를 들어:

  • STO 백서와 정보공개는 Notion
  • 실시간 데이터는 Dune
  • 스토리텔링과 브랜딩은 Mirror

IR은 투자자와의 커뮤니케이션 전략이자, 프로젝트의 신뢰를 증명하는 수단입니다. Web3 환경에서는 문서의 정돈뿐 아니라 데이터와 철학을 ‘보여주는’ 역량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 다음 글에서는 Account Abstraction을 통해 어떻게 Web3 지갑 UX가 변화하고 있는지를 상세히 다루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