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 시장에서 기관 투자자 유치 전략과 세컨더리 마켓 기관용 상품 설계 방법|데일리 블록체인

STO 시장에서 기관 투자자 유치 전략과 세컨더리 마켓 기관용 상품 설계 방법 ✔️ 기관 투자자는 STO 시장의 핵심 유동성 공급자 STO(Security Token Offering) 시장이 안정적이고 장기적인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기관 투자자의 참여가 필수적입니다. 리테일 투자자는 진입 장벽이 낮은 대신 투자 규모가 제한되고, 거래 빈도가 낮은 경향이 있습니다. 반면 기관 투자자는 대규모 자금을 장기간 운용하고, 세컨더리 마켓에서도 가격 안정성과 거래량 확보에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기관 투자자는 디지털 자산에 대해 매우 보수적인 접근을 보이며, 기술적인 우수성보다 법적 안정성, 커스터디 인프라, 세금 구조, 리스크 관리 체계 등을 우선시합니다. 따라서 STO 프로젝트가 기관 투자를 유치하기 위해서는 자산의 우수성만 강조할 것이 아니라, ‘기관 투자자 관점의 안정성’을 설계에 녹여야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STO 프로젝트가 기관 투자자를 유치할 수 있는 전략과, 이들이 세컨더리 마켓에서도 지속적으로 거래에 참여할 수 있는 ‘기관 전용 상품 설계 방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 STO 시장에서 기관 투자자를 유치하는 5가지 전략 기관 투자자는 규제, 내부 심사, 리스크 기준 등 복잡한 검토 절차를 거치기 때문에, 일반적인 STO 마케팅 접근으로는 유치가 어렵습니다. 다음은 STO 시장에서 기관 투자자 유치를 위해 반드시 고려해야 할 전략입니다. 첫째, 규제 등록 및 면허 기반 구조 설계 입니다. 미국 SEC의 Reg D 또는 Reg A+ 등록, 싱가포르 MAS 인가, 스위스 FINMA 구조 등 제도권 금융감독기관에 등록된 STO만이 기관 검토 대상이 됩니다. 기관은 비인가 구조에는 투자할 수 없거나, 내부 승인 절차가 크게 지연됩니다. 둘째, 전문 커스터디 인프라 연동 입니다. 기관 투자금은 내부 규정상 반드시 수탁기관(Custodian)을 통해 보관되어야 하며,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