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 발행 구조와 단계별 절차, 투자자를 위한 체크리스트|데일리 블록체인

STO 발행 구조와 단계별 절차, 투자자를 위한 체크리스트 STO(Security Token Offering)는 블록체인 기반 자금 조달 방식 중 가장 주목받는 형태입니다. 기존의 ICO(Initial Coin Offering)와 달리, 투자자 보호를 위한 법적 규제를 기반으로 한다는 점에서 제도권 금융과 Web3의 접점 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STO의 발행 구조와 단계별 절차를 정리하고, 개인 투자자가 알아야 할 실전 체크리스트를 함께 안내합니다. ✔️ STO란 무엇인가? STO는 실물 자산이나 기업 지분, 수익 분배 권리 등을 토큰화하여 증권 형태로 발행 하는 자금 조달 방식입니다. 블록체인을 통해 투명성, 자동화, 분산 거래 가 가능하면서도, 국가별 금융 규제를 따르는 것이 특징입니다. 투자자는 해당 토큰을 보유함으로써 배당, 이자, 수익 공유 등 법적 권리 를 갖고, 일정 조건 하에 2차 시장에서 자유롭게 거래할 수 있습니다. ✔️ STO 발행 구조의 기본 흐름 STO는 일반적으로 다음 5단계로 구성됩니다. 프로젝트는 토큰화 대상 자산을 정하고, 규제 절차를 거쳐 투자자에게 증권형 토큰을 발행합니다. 기초 자산 선정 – 기업 지분, 채권, 수익 계약 등 실제 가치를 가진 자산 토큰 설계 및 스마트 계약 개발 – 배당 방식, 거래 조건, 만기 구조 등을 코드로 구현 규제 등록 및 승인 – 국가별 증권법에 따라 발행 등록 혹은 면제 절차 진행 투자자 모집 – 공인 투자자 또는 소액 투자자 대상 청약 진행 유통 시장 연결 – 거래소 또는 OTC 플랫폼에서 거래 활성화 ✔️ STO 발행 단계별 세부 설명 자산 토큰화 : 실제 자산과 토큰 간 1:1 연동이 핵심입니다. 오라클을 통해 자산 데이터가 실시간 연결되어야 합니다. 스마트 계약 배포 : 수익 분배, 권리 행사, 상환 조건 등을 자동으로 집행하는 코드로 구현됩니다. KYC/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