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K Rollup, Validium, zkEVM의 구조와 차이점 비교|데일리 블록체인

ZK Rollup, Validium, zkEVM의 구조와 차이점 비교 ✔️ 확장성과 프라이버시를 동시에 잡는 ZK 기술 블록체인이 직면한 가장 큰 기술적 한계 중 하나는 확장성과 개인정보 보호입니다. 이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유력한 기술이 바로 ZK(영지식 증명) 기반의 Layer2 솔루션입니다. 특히 ZK Rollup, Validium, zkEVM은 이더리움 생태계에서 확장성과 효율성, 보안성을 고려한 대표적인 구조로 주목받고 있으며, 그 구현 방식과 응용 범위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입니다. ✔️ ZK Rollup: 온체인 데이터 + 오프체인 연산 ZK Rollup은 트랜잭션을 오프체인에서 처리하고, 그 결과만을 ZK 증명과 함께 이더리움 메인넷에 기록하는 방식입니다. 핵심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데이터 가용성: 모든 상태 데이터가 이더리움 온체인에 기록됨 프루프 기반 정산: ZK-SNARK 혹은 STARK로 검증 높은 보안성: 이더리움의 보안성을 그대로 계승 단점: 온체인 데이터 저장으로 인한 비용 부담 대표적인 ZK Rollup 프로젝트로는 zkSync Era , Scroll , Polygon zkEVM 등이 있습니다. ✔️ Validium: 오프체인 데이터 + 온체인 증명 Validium은 ZK Rollup과 비슷한 구조를 가졌지만, 상태 데이터(State data)를 온체인이 아닌 오프체인에 보관하는 방식을 취합니다. 이는 저장 공간을 줄이고 트랜잭션 비용을 낮추는 데 효과적입니다. 데이터 가용성: 데이터는 오프체인에 저장 보안 모델: 데이터 제공자(데이터 가용성 위원회)의 신뢰 필요 장점: 높은 TPS와 낮은 수수료 단점: 완전한 탈중앙성과 검열 저항성은 낮아짐 대표 프로젝트로는 StarkEx 기반의 dYdX, Immutable X, Sorare 등이 있습니다. ✔️ zkEVM: ZK 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