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탄소배출권인 게시물 표시

탄소배출권과 ESG 자산 STO 사례|데일리 블록체인

이미지
  탄소배출권과 ESG 자산 STO 사례 ✔️ 공공성과 금융성을 모두 담는 STO STO(Security Token Offering)는 단순한 금융 수단을 넘어서, 사회적 가치를 함께 실현할 수 있는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탄소배출권,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자산처럼 공공성과 지속가능성을 포함하는 자산군이 STO와 결합하면서 주목받고 있죠. 이런 자산은 그 자체로도 거래 가능한 시장을 형성하고 있지만, 블록체인을 통해 더 투명하고 글로벌하게 유통될 수 있다는 점에서 STO와의 궁합이 뛰어납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러한 STO 활용 사례와 그 구조를 살펴봅니다. ✔️ 탄소배출권이란 무엇인가? 탄소배출권(Carbon Credit)은 국가나 기업이 온실가스를 일정량 감축하거나 흡수하면, 그 성과에 따라 발급받는 ‘배출 감축 인증서’입니다. 이 배출권은 국가 간, 기업 간에 거래될 수 있는 자산으로 기능하며, 실제로 유럽, 미국, 한국 등지에서는 거래소를 통해 활발히 유통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탄소배출권은 실질적인 가치와 공공성을 동시에 지니고 있기 때문에, STO의 대상 자산으로 매우 적합합니다. ✔️ 탄소배출권 STO 사례: Toucan Protocol Toucan Protocol은 탄소배출권을 블록체인 상에서 토큰화한 대표적인 프로젝트입니다. 이더리움과 폴리곤 체인 위에서 ‘Base Carbon Tonne(BCT)’이라는 토큰을 발행하며, Verra나 Gold Standard 등에서 인증받은 실제 탄소배출권과 1:1로 연동됩니다. 이 프로젝트는 DeFi와 ESG를 결합한 새로운 생태계를 만들어내며, 사용자는 탄소 배출을 상쇄하는 목적으로 해당 토큰을 구매하거나 스테이킹할 수 있습니다. 더 나아가 NFT 프로젝트, DAO 커뮤니티 등에서도 탄소 중립을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 ESG 자산 STO 사례: Flowcarbon Flowcarbon은 글로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