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탈중앙화 거래소인 게시물 표시

실물 기반 STO와 탈중앙화 거래소(DEX)의 유통 구조|데일리 블록체인

이미지
  실물 기반 STO와 탈중앙화 거래소(DEX)의 유통 구조 ✔️ STO는 ‘발행’뿐 아니라 ‘유통’이 중요하다 증권형 토큰(STO, Security Token Offering)이 금융 생태계에서 점점 주목받는 이유는, 실물 자산을 블록체인 기반으로 디지털화함으로써 새로운 투자 기회를 열어주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STO가 성공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발행만큼이나 중요한 것이 ‘유통 구조’입니다. 과거에는 이러한 유통을 중앙화된 ATS(Alternative Trading System)가 담당했지만, 최근에는 DEX(탈중앙화 거래소) 기반으로 STO가 유통되는 실험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DEX는 유동성, 글로벌 접근성, 사용자 자산 통제 측면에서 STO와 이상적인 조합을 이루기도 합니다. ✔️ DEX란 무엇인가? DEX(Decentralized Exchange)는 중앙 운영자 없이 스마트 계약을 기반으로 작동하는 탈중앙화 거래 플랫폼입니다. 대표적인 예로는 유니스왑(Uniswap), 스시스왑(Sushiswap), 카이버스왑(KyberSwap) 등이 있으며, 이들은 블록체인상에서 사용자 간 자산 교환을 중개합니다. 이 시스템에서는 주문서(order book)가 아닌 자동화된 유동성 풀(AMM, Automated Market Maker)을 통해 자산의 가격이 형성되고, 중개자 없이 누구나 자유롭게 거래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 STO가 DEX에서 거래되려면 어떤 조건이 필요할까? 전통적인 STO는 일반적으로 규제와 인증을 거쳐 ATS 같은 중앙화 플랫폼에서 거래됩니다. 하지만 일부 STO 프로젝트는 DEX에서 거래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조건을 충족시키고 있습니다. 기술적 표준화: ERC-1400, ERC-3643 등 증권형 토큰 전용 스마트 계약 표준 적용 KYC/AML 통합: DEX 사용 시에도 지갑 기반 인증 구조 구축 프라이버시 보호: 거래 투명성 확보와 동시에 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