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 세컨더리 마켓 유동성 관리 전략과 마켓메이커 운영 방식|데일리 블록체인

STO 세컨더리 마켓 유동성 관리 전략과 마켓메이커 운영 방식 ✔️ 세컨더리 유동성은 STO 프로젝트 생존의 열쇠 STO(Security Token Offering) 프로젝트가 성공적으로 발행을 마쳤더라도, 세컨더리 마켓에서 충분한 유동성을 확보하지 못하면 장기적인 생존은 매우 어렵습니다. 투자자들은 언제든 토큰을 사고팔 수 있는 자유와 시장 가격 형성을 기대하지만, 거래량이 적거나 스프레드(호가 간격)가 지나치게 크면 시장 신뢰를 잃고 투자자가 이탈하게 됩니다. 특히 RWA(Real World Asset) 기반 STO는 자산 기반 수익이 존재하더라도, 세컨더리 유동성이 확보되지 않으면 투자자들은 자산을 현금화하기 어렵다는 불안감을 느끼게 됩니다. 따라서 발행 단계부터 유통 시장 유동성 확보를 위한 구체적 전략을 설계해야 하며, 이는 단순한 거래소 상장만으로는 해결되지 않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STO 세컨더리 마켓의 유동성을 관리하는 핵심 전략과, 이를 실질적으로 실행하는 마켓메이커 운영 방식을 심층 분석해보겠습니다. ✔️ STO 유동성 관리 핵심 전략 STO 유동성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전략이 필요합니다. 첫째, 초기 유동성 공급 계약 체결 입니다. 상장 직후 일정 기간 동안 최소 거래량과 호가 스프레드를 보장하는 마켓메이커와 사전 계약을 체결해야 합니다. 이는 초기에 시장 가격이 급격히 변동하는 것을 막고, 안정적인 거래 환경을 조성할 수 있습니다. 둘째, 다중 거래소 상장 전략 입니다. 하나의 거래소에만 의존하면 유동성이 취약해질 수 있으므로, 여러 규제 승인을 받은 ATS(Alternative Trading System) 또는 디지털 증권 거래소에 동시 상장하여 투자자 기반을 다변화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ADDX, Archax, SDX 등에 동시에 상장하는 방식입니다. 셋째, 유동성 인센티브 프로그램 운영 입니다. 투자자에게 거래 수수료 할인, 스테이블코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