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거래소 상장인 게시물 표시

STO 유통 구조와 거래소 상장 방식|데일리 블록체인

이미지
  STO 유통 구조와 거래소 상장 방식 ✔️ STO 발행 이후, 어디서 어떻게 거래되는가? STO(Security Token Offering)를 통해 발행된 증권형 토큰은 일반적인 암호화폐와는 달리, 규제 요건을 충족해야만 거래가 가능합니다. 따라서 이들 토큰은 거래소 상장 전에 반드시 ‘유통 가능성’을 확보해야 하며, 그 유통 구조 또한 법적으로 허용된 플랫폼에서만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기존의 암호화폐가 DEX(탈중앙 거래소)나 CEX(중앙 거래소)를 통해 즉시 상장되는 것과 달리, STO는 그 성격상 제도권 내 인프라에서 통제된 방식으로 거래되며, 거래소도 이에 맞는 등록·인가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 STO 유통을 위한 핵심 인프라: ATS란? 미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서는 증권형 토큰의 유통을 위해 ‘ATS(Alternative Trading System)’라는 인프라가 활용됩니다. ATS는 기존 증권거래소와 유사한 역할을 하되, 보다 유연한 규제 적용을 받는 민간 기반의 거래소 구조입니다. STO가 발행된 이후, 투자자는 해당 토큰을 ATS를 통해 매도하거나, 다른 투자자로부터 매수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은 블록체인 기반 스마트 계약과 연결되어 자동화될 수 있지만, 반드시 KYC(본인 인증)와 AML(자금세탁방지) 절차를 거쳐야 하므로 보안성과 투명성이 확보됩니다. ✔️ STO 상장을 위한 절차 STO가 거래소에 상장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절차를 거칩니다: 1. ATS 파트너 선정 : 발행자는 규제 요건을 만족하는 ATS(예: tZERO, INX)와 협력 관계를 맺습니다. 2. KYC/AML 등록 : ATS의 투자자 등록 시스템에 따라 본인 인증 및 자금 출처를 확인합니다. 3. 유동성 배치 설계 : 거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정가 주문, 유동성 공급자 구조를 설계합니다. 4. 상장 심사 및 승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