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금융위원회인 게시물 표시

한국의 토큰증권 시범사업과 ATS 구축 현황|데일리 블록체인

이미지
  한국의 토큰증권 시범사업과 ATS 구축 현황 ✔️ 토큰증권, 드디어 제도권에 들어오다 2023년, 한국 금융위원회는 블록체인 기반 증권형 토큰(STO)의 제도화를 위한 첫 발걸음으로 ‘토큰증권 발행·유통 규율체계’를 발표했습니다. 그동안 규제의 회색지대에 머물러 있던 STO를 공공의 금융 체계 안으로 편입하려는 움직임으로, 국내 디지털 자산 시장에 상당한 파급 효과를 일으켰습니다. 이와 함께 한국은 토큰증권의 유통을 위한 인프라인 ATS(Alternative Trading System) 도입도 병행하며, 디지털 증권 생태계의 실험을 본격화하고 있습니다. ✔️ 2023년 토큰증권 가이드라인 핵심 금융위원회는 '토큰증권 가이드라인'을 통해 STO 발행과 유통의 법적 근거를 제시했습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전자증권법 기반: STO는 '전자증권'으로 간주되어 기존 금융법 적용 대상 공인 기관 발행만 허용: 증권사, 은행 등 라이선스를 가진 기관만 발행 가능 유통 시장 분리: CEX(중앙거래소)에서의 유통은 금지, 전용 플랫폼(ATS) 통해 거래 실물 기반 자산 위주: 부동산, 채권, 펀드 등 실재 자산이 있는 토큰에 한해 허용 이 가이드라인을 통해 한국은 STO를 단순 가상자산이 아닌, 제도화된 금융상품으로서 정착시키려는 의도를 분명히 했습니다. ✔️ 시범사업 선정: 8개 금융기관 중심 2024년 초, 금융위원회는 본격적인 STO 시범사업을 위해 증권사·은행 등 8개 기관을 선정했습니다. 이들은 실제 토큰증권을 발행하고, 투자자에게 유통할 수 있는 라이선스를 부여받았으며, 향후 제도화 모델을 마련하는 데 핵심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주요 참여사는 다음과 같습니다. 신한투자증권: 부동산 수익증권 기반 STO 발행 KB증권: 펀드 연계 STO 실험 NH투자증권: 상장 주식 연동형 STO 우리은행: 채권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