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마켓메이커인 게시물 표시

디지털 증권 세컨더리 마켓 전략과 커스터디·마켓메이커 통합 설계|데일리 블록체인

이미지
  디지털 증권 세컨더리 마켓 전략과 커스터디·마켓메이커 통합 설계 ✔️ STO 유통 활성화, 왜 세컨더리 마켓이 중요한가? 증권형 토큰(STO)은 자산을 디지털화하여 글로벌 투자자에게 유통할 수 있도록 만든 혁신적인 금융 상품이지만, 그 진정한 가치는 ‘2차 시장’, 즉 세컨더리 마켓에서 거래가 활발히 이루어질 때 발현됩니다. 대부분의 STO는 1차 발행(Primary Offering)에서는 자금을 유치하는 데 성공하지만, 이후 거래가 활발히 이어지지 못하면 유동성 리스크가 발생하고 투자자의 신뢰도 떨어지게 됩니다. 전통 금융에서 주식, 채권 등이 거래소에서 활발히 거래되듯이, STO도 ATS(Alternative Trading System), 규제된 디지털 거래소에서 안정적인 유통이 가능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선 세컨더리 마켓에서 ‘거래량 유지’, ‘가격 형성’, ‘스프레드 최소화’ 등이 실현되어야 하며, 이를 달성하기 위해 반드시 고려해야 할 두 축이 바로 마켓메이커(Market Maker) 와 커스터디(Custody) 입니다. 이들은 단순 보조 인프라가 아닌, 세컨더리 전략의 핵심 구조로 작용합니다. 따라서 STO 프로젝트의 유통 전략을 설계할 때는 마켓 상장 일정과 함께, 유동성 공급자 구성, 커스터디 계약, 거래소 연동 API 설계, 자동화된 수익 분배 구조 등을 동시에 고려해야 하며, 이는 단순 ‘기술 구현’이 아니라 ‘금융 서비스 기획’이라는 관점에서 접근해야 합니다. ✔️ 마켓메이커와 유동성 전략의 통합 마켓메이커는 세컨더리 마켓에서의 가격 형성과 유동성을 보장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들은 매수/매도 호가를 지속적으로 제시하며, 시장에 항상 유동성을 공급함으로써 거래를 원활히 유지합니다. 특히 디지털 증권의 경우 발행 초기에는 시장 참여자 수가 적기 때문에, 인위적인 거래량 생성 및 가격 안정 이 필수이며, 이를 마켓메이커가 담당합니다. 디지털 증권에서 마켓메이커가 수행하는 주요 ...

STO 유통을 위한 세컨더리 마켓 전략과 마켓메이커 구조|데일리 블록체인

이미지
  STO 유통을 위한 세컨더리 마켓 전략과 마켓메이커 구조 ✔️ STO 상장이 끝이 아니다, 유통 전략이 중요하다 증권형 토큰(STO)이 ATS(Alternative Trading System)에 상장되었다고 해서 프로젝트의 성공이 보장되는 것은 아닙니다. 실제 거래가 이뤄지고, 유동성이 확보되어야 투자자도, 플랫폼도 가치를 창출할 수 있습니다. STO의 유통 활성화를 위한 핵심 전략은 ‘세컨더리 마켓(Secondary Market)’의 설계입니다. 이는 초기 투자자가 언제든지 토큰을 판매할 수 있고, 새로운 투자자가 유입될 수 있는 구조를 만들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 세컨더리 마켓이란? 세컨더리 마켓은 STO가 발행된 이후, 기존 투자자들 사이에서 거래가 이뤄지는 시장입니다. 일반 주식 시장과 마찬가지로, 토큰이 ‘자산’으로서 시장에서 평가받고, 가격이 형성되며 유동성이 생성되는 공간입니다. 이 시장이 없거나 활성화되지 않는다면, STO는 단지 ‘기술적으로 발행된 증서’에 불과하며, 실질적인 금융 자산으로 기능하지 못합니다. ✔️ 유동성 공급의 핵심, 마켓메이커란? 마켓메이커(Market Maker)는 세컨더리 마켓에서 유동성을 공급하는 주체입니다. 이들은 매수-매도 호가를 지속적으로 게시하며 거래가 끊기지 않도록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STO 시장에서 마켓메이커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합니다. 매수·매도 스프레드 유지: 거래 호가 차이를 일정 수준 내로 유지 거래량 보장: 유동성 부족 시 자체 자금으로 거래 수행 가격 안정화: 급격한 가격 변동 방지 전통 금융에서는 증권사나 전문 트레이딩 회사가 이 역할을 수행하며, STO에서도 동일한 방식으로 설계됩니다. ✔️ STO 마켓메이커의 구조 STO에 특화된 마켓메이커 구조는 일반 암호화폐 시장과는 차별화됩니다. 이유는 STO가 ‘증권’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제약과 기능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