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블록체인 금융 규제인 게시물 표시

RWA 기반 STO 확장을 위한 국가별 규제 차이와 글로벌 진입 전략|데일리 블록체인

이미지
  RWA 기반 STO 확장을 위한 국가별 규제 차이와 글로벌 진입 전략 ✔️ RWA 기반 STO, 국가별 규제가 판을 가른다 RWA(Real World Asset) 기반 STO(Security Token Offering)는 글로벌 금융 시장에서 가장 뜨거운 트렌드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STO는 기본적으로 ‘증권’으로 간주되기 때문에, 각국의 금융 규제 체계에 따라 적용되는 법률, 인허가 요건, 투자자 요건 등이 천차만별입니다. 특히 RWA 기반 STO는 실물 자산을 담보로 하기에 규제 준수의 중요성이 더욱 커집니다. 국가별 규제 차이를 명확히 이해하지 못하고 무작정 글로벌 진출을 시도하면, 법적 리스크로 인해 프로젝트가 중단되거나 투자자 피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RWA 기반 STO를 글로벌 시장에 확장하려는 프로젝트라면, 국가별 규제 차이를 사전에 정확히 분석하고, 각 시장 특성에 맞는 맞춤형 전략을 수립해야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STO 친화 국가와 그렇지 않은 국가를 구분하고, 실제 진입 전략 수립에 필요한 핵심 포인트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 STO 친화 국가와 주요 규제 특징 STO 친화 국가는 규제 체계 내에 디지털 증권에 대한 명확한 정의와 인허가 절차를 마련해 놓은 국가를 말합니다. 대표적인 국가로는 미국, 싱가포르, 스위스, 룩셈부르크, 아랍에미리트(UAE) 등이 있습니다. 미국은 SEC(증권거래위원회)를 통해 Reg D, Reg S, Reg A+ 등 다양한 증권 등록 예외 조항을 제공하며, 이에 따라 STO 발행과 유통이 가능합니다. 다만 미국 투자자 대상 모집 시 공인 투자자 요건을 충족해야 하고, KYC/AML은 필수입니다. 싱가포르는 MAS(통화청)가 디지털 토큰을 증권으로 분류하는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며, STO를 허용하는 구조를 명확히 제시했습니다. 특히 MAS는 디지털 자산 거래소 라이선스(Recognized Market Operator)를 통해 STO 유통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