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세금 이슈인 게시물 표시

디지털 증권 펀드 설계 시 반드시 고려해야 할 법률 요건과 세금 이슈|데일리 블록체인

이미지
  디지털 증권 펀드 설계 시 반드시 고려해야 할 법률 요건과 세금 이슈 ✔️ 디지털 증권 펀드, 기술보다 중요한 건 ‘법률 구조’ 디지털 증권 펀드(Security Token Fund)는 STO 기반으로 구성된 투자 상품으로, 스마트컨트랙트와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효율성과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기술적 완성도만으로는 제도권 금융 시장에서 받아들여지기 어렵습니다. 실제로 디지털 증권 펀드를 운용하려면 반드시 현행 증권법, 자산운용법, 자금세탁방지법 등의 법률적 기준을 충족해야 합니다. 특히 미국, 유럽, 싱가포르 등 선진 금융 시장에서는 증권으로 간주되는 자산에 대한 규제가 매우 엄격하기 때문에, STO와 이를 활용한 펀드는 시작 단계에서부터 철저한 법률 설계가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미국에서는 Reg D, Reg A+, Reg S 등의 SEC 등록 예외 조항을 통해 펀드 지분을 발행할 수 있으며, 이 중 어떤 조항을 적용하느냐에 따라 참여 가능한 투자자의 범위, 공시 의무, 광고 허용 여부 등이 달라집니다. 유럽의 경우, 각 국가별 증권 규제뿐 아니라 ESMA의 디지털 금융 가이드라인을 따라야 하며, 룩셈부르크, 리투아니아, 독일 등은 비교적 명확한 STO 기준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디지털 증권 펀드가 글로벌 투자자를 대상으로 자금을 조달하고 안정적으로 운용되기 위해서는 규제 이해도가 높은 법률 자문이 필수적입니다. ✔️ 투자자 보호를 위한 법률적 장치와 의무 사항 디지털 증권 펀드는 일반 투자자도 접근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는 만큼, 투자자 보호 조항도 매우 중요합니다. 전통적인 사모펀드 구조와는 달리, STO 기반 펀드는 투자자 onboarding(가입), 자산 분배, 분쟁 처리까지 모든 과정이 블록체인 위에서 실행될 수 있지만, 이와 별도로 법률적으로 요구되는 보호 조치들도 반드시 마련되어야 합니다. 첫 번째는 KYC/AML 절차 입니다. 투자자가 실제로 실명 인증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