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증권형 토큰 보관인 게시물 표시

디지털 증권의 커스터디 구조와 자산 보호 메커니즘|데일리 블록체인

이미지
  디지털 증권의 커스터디 구조와 자산 보호 메커니즘 ✔️ STO 자산 보관의 핵심은 ‘커스터디’ 증권형 토큰(Security Token Offering, STO)은 디지털 자산이지만, 그 본질은 법적 권리와 수익 흐름이 담긴 ‘금융 자산’입니다. 이런 자산을 단순히 개인 지갑에 보관하거나 탈중앙화 거래소에서 관리하는 것은 제도권 금융 시스템에서는 받아들여지지 않습니다. 자산의 법적 소유 증명, 투자자 보호, 사고 발생 시 대응체계까지 갖추기 위해서는 커스터디(Custody) 구조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커스터디는 디지털 증권을 대신 보관하고, 일정 조건 하에서 거래나 수익 분배 등을 대행하는 역할을 합니다. 전통 금융에서는 은행, 증권사, 수탁 전문 기관이 이 역할을 맡아 왔습니다. STO도 이와 유사한 체계를 갖추고 있으며, 이를 ‘디지털 자산 커스터디’ 또는 ‘토큰 커스터디’라고 부릅니다. 특히 기관 투자자가 참여하는 프로젝트라면, 커스터디 서비스 제공 여부는 필수적인 요건으로 간주됩니다. SEC나 FINRA, 유럽의 MiFID 등도 디지털 증권을 유통하는 조건으로 공인된 커스터디 솔루션의 존재를 요구하고 있으며, 이를 갖추지 않으면 거래소 상장도 어려워집니다. 따라서 STO 프로젝트를 설계할 때는 기술적 보안뿐만 아니라, 외부 커스터디 업체와의 제휴 여부, 서비스 범위, 사고 보상 체계, 데이터 복구 시스템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결국 ‘자산을 어디에, 누구 명의로, 어떤 조건으로 보관하느냐’는 STO의 제도권 편입과 직접적으로 연결된 요소이자, 투자자의 신뢰를 결정하는 핵심 요인입니다. ✔️ 커스터디 서비스의 구조와 역할 디지털 자산 커스터디는 크게 세 가지 역할로 나뉩니다. 첫째, 보관(Safekeeping) 입니다. 이는 토큰 또는 프라이빗 키를 분산 저장하거나 콜드월렛 기반으로 보관해 도난, 해킹, 내부 유출을 방지하는 기능입니다. 둘째, 결제·청산(Settlement) 입니다. 투자자 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