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증권형 토큰 회계기준인 게시물 표시

디지털 증권의 회계 기준과 온체인 감사 추적 구조|데일리 블록체인

이미지
  디지털 증권의 회계 기준과 온체인 감사 추적 구조 ✔️ 디지털 증권, 회계 기준 없이 유통될 수 없다 디지털 증권(Security Token)은 분명 기술적으로는 자산의 소유권, 수익 흐름, 권리 이전 등을 자동화하는 획기적인 수단이지만, 제도권 금융 시장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명확한 회계 기준에 따라 인식되고 처리되어야 합니다. 단순히 블록체인 상에서 기록된 거래라 하더라도, 기업이나 펀드가 이 자산을 운용하고 수익을 분배하며, 외부 감사나 세무 신고를 준비하려면 해당 자산이 어떤 기준으로 회계에 반영되는지를 명확히 해야 합니다. 현재까지 국제 회계 기준(IFRS) 및 미국 회계 기준(GAAP)은 디지털 자산 전반에 대한 포괄적 기준을 제시하지는 않았으나, STO처럼 수익 기반 증권은 기존의 금융상품 분류 체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됩니다. 첫째, 지분증권 형태일 경우 자본계정 또는 투자자산으로 분류되고, 둘째, 채무증권 의 경우 단기 혹은 장기 부채로 인식됩니다. 셋째, 하이브리드 구조 를 가진 토큰의 경우 조건에 따라 분할 인식하거나, 내재 파생상품으로 분석됩니다. 예를 들어, 부동산 기반 STO를 통해 발행된 토큰이 일정 비율의 임대 수익을 배당하는 구조라면, 이는 투자 수익을 유발하는 유가증권으로 간주되어 금융자산으로 회계상 인식됩니다. 반면, 특정 조건 충족 시 수익이 지급되거나, 수익 구조가 명확하지 않은 경우엔 기타 자산 또는 충당부채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 기업은 이처럼 STO 관련 보유 자산의 회계 인식 기준을 내부 회계 관리 규정에 반영해야 하며, 감사인이 이를 명확히 검토하고 외부 보고 체계에 포함시켜야 합니다. ✔️ 스마트컨트랙트와 회계 보고의 연결 구조 디지털 증권의 회계상 최대 특징은, 거래 내역이 온체인에서 완전히 추적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이는 단순한 장부 기입 방식이 아니라, 블록체인 위에서 자동 실행되는 스마트컨트랙트를 기반으로 모든 수익 배분, 지분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