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 글로벌 토큰 표준: ERC-1400과 ERC-3643 비교|데일리 블록체인

STO 글로벌 토큰 표준: ERC-1400과 ERC-3643 비교 ✔️ 증권형 토큰에는 ‘표준’이 필요하다 STO(Security Token Offering)는 단순한 디지털 자산이 아니라, 법적 권리(소유권, 배당권 등)를 내포한 ‘디지털 증권’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STO를 안전하게 발행하고 유통하기 위해선 일반적인 암호화폐와는 다른 특별한 기술 표준이 필요합니다. 이더리움 생태계에서는 이를 위해 증권형 토큰 전용 표준들이 개발되어 왔으며, 현재 가장 대표적인 두 가지가 바로 ERC-1400 과 ERC-3643 입니다. 두 표준은 공통적으로 증권형 자산에 필요한 기능을 스마트컨트랙트에 구현하고 있지만, 세부 구조와 시장 적용 사례에서 차이를 보입니다. ✔️ ERC-1400: 증권형 토큰의 ‘시작점’ ERC-1400은 2018년 개발된 증권형 토큰의 초기 표준으로, 기존 ERC-20과 ERC-777을 확장한 구조입니다.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파티션 기반 권리구분: 한 토큰 내에서 서로 다른 권리(예: 배당, 의결권)를 분리 오프체인 정보 연결: 토큰 보유자에 대한 추가 정보(off-chain data)와 연계 규제 적용 기반: KYC, AML 요건에 따라 거래 승인 여부 결정 가능 투명한 블랙리스트/화이트리스트 기능: 승인된 주소만 토큰 수령 가능 다만 ERC-1400은 표준의 범위가 넓고 다양한 옵션이 혼재되어 있어, 프로젝트마다 구현 방식에 차이가 생길 수 있다는 단점도 존재합니다. ✔️ ERC-3643: 실제 상용화를 위한 진화 ERC-3643은 ERC-1400의 확장판이자, 상업적 사용과 규제 호환성에 초점을 맞춰 설계된 표준입니다. 원래 T-REX(Token for Regulated Exchanges)라는 이름으로 시작되었으며, 2023년 공식적으로 ERC-3643으로 등록되었습니다.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