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유럽 블록체인인 게시물 표시

유럽 디지털 거래소별 STO 상장 조건과 기술 사양 비교|데일리 블록체인

이미지
  유럽 디지털 거래소별 STO 상장 조건과 기술 사양 비교 ✔️ 유럽은 디지털 증권 거래의 중심지다 디지털 자산의 제도권 편입이 가속화되면서, STO(Security Token Offering)를 실제로 거래할 수 있는 디지털 거래소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특히 유럽은 MiCA 도입 이후 디지털 증권 거래 인프라가 빠르게 확장되며, Archax(영국), SDX(스위스), Tokeny(룩셈부르크) 등 다양한 ATS(Alternative Trading System)가 활발히 운영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들 유럽 주요 디지털 거래소들의 STO 상장 요건과 기술 사양을 비교 분석해, 프로젝트 입장에서 어떤 거래소가 적합할지를 판단하는 데 도움을 드리고자 합니다. ✔️ 상장 조건의 기본 구성 요소 디지털 거래소에 STO를 상장하기 위해선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조건이 필수입니다. 법적 등록: 유럽 내 법인 등록 및 금융감독기관 라이선스 필요 토큰 표준 준수: ERC-1400 또는 ERC-3643 등 증권형 토큰 표준 기반 KYC/AML 체계: 투자자 인증과 자금세탁방지 시스템 연동 실물 기반 자산: 실재 자산과의 연동 구조 요구 (부동산, 채권 등) 이 외에도 거래소별로 요구하는 기술 사양과 심사 절차는 상이하며, 운영 대상이 기관 투자자인지 소액 투자자까지 포함되는지에 따라 규제 요건도 달라집니다. ✔️ Archax (영국): FCA가 승인한 최초의 디지털 거래소 Archax는 영국 금융감독청(FCA)으로부터 3개 금융 라이선스(거래소, 보관, 유통)를 모두 취득한 최초의 디지털 자산 거래소입니다. 증권형 토큰의 상장 허용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법인 요건: 영국 내 법인 설립 또는 인정된 글로벌 파트너십 필요 토큰 요건: ERC-3643 필수, 유효한 KYC 기반 스마트컨트랙트 통합 감사 및 실물증빙: 자산 감정평...

STO 규제 프레임워크의 진화: 유럽과 아시아 비교|데일리 블록체인

이미지
  STO 규제 프레임워크의 진화: 유럽과 아시아 비교 ✔️ STO가 제도권으로 들어오고 있다 한때 법의 사각지대에 있던 STO(Security Token Offering)가 점점 제도권 안으로 편입되고 있습니다. 디지털 자산 시장이 성장하고, 블록체인 기술의 신뢰성과 투명성이 입증되면서, 각국 정부와 규제기관은 증권형 토큰의 법적 지위를 명확히 하고자 관련 법제를 정비하기 시작했죠. 이러한 흐름은 단순히 투자자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일 뿐 아니라, STO가 실질적인 자본시장 인프라로 작동하기 위한 필수 조건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유럽과 아시아 주요 국가들이 어떻게 STO를 제도화하고 있는지 비교 분석해보겠습니다. ✔️ 유럽: MiCA와 독일·프랑스를 중심으로 한 법제화 유럽연합(EU)은 디지털 자산을 위한 가장 선진적인 규제 프레임워크인 MiCA(Markets in Crypto-Assets Regulation)를 2023년 통과시켰습니다. 이 규제는 암호화폐뿐만 아니라 증권형 토큰, 스테이블코인까지 포괄하는 디지털 자산 시장의 종합적인 규율 체계입니다. 특히 독일은 이미 2019년부터 전자증권법을 도입해 증권형 토큰을 법적으로 인정하고 있으며, BaFin(금융감독청)은 디지털 자산 발행사를 위한 라이선스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프랑스도 AMF(금융시장청)를 통해 ICO와 STO를 관리하며, 법적 등록 요건을 갖춘 발행사에 한해 합법적인 토큰 발행을 허용합니다. 이러한 제도 덕분에 유럽은 전 세계에서 가장 STO 친화적인 지역으로 부상하고 있으며, 실제로 다수의 글로벌 STO 프로젝트가 유럽을 본거지로 하고 있습니다. ✔️ 아시아: 규제 정비 중이지만 속도는 다르다 아시아는 국가별로 STO에 대한 입장과 법제화 속도가 크게 다릅니다. 싱가포르와 일본은 비교적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갖춘 반면, 한국, 중국, 태국 등은 아직 제도적 실험 단계에 가깝습니다. 싱가포르: MAS(통화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