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ERC-3643인 게시물 표시

유럽 디지털 거래소별 STO 상장 조건과 기술 사양 비교|데일리 블록체인

이미지
  유럽 디지털 거래소별 STO 상장 조건과 기술 사양 비교 ✔️ 유럽은 디지털 증권 거래의 중심지다 디지털 자산의 제도권 편입이 가속화되면서, STO(Security Token Offering)를 실제로 거래할 수 있는 디지털 거래소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특히 유럽은 MiCA 도입 이후 디지털 증권 거래 인프라가 빠르게 확장되며, Archax(영국), SDX(스위스), Tokeny(룩셈부르크) 등 다양한 ATS(Alternative Trading System)가 활발히 운영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들 유럽 주요 디지털 거래소들의 STO 상장 요건과 기술 사양을 비교 분석해, 프로젝트 입장에서 어떤 거래소가 적합할지를 판단하는 데 도움을 드리고자 합니다. ✔️ 상장 조건의 기본 구성 요소 디지털 거래소에 STO를 상장하기 위해선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조건이 필수입니다. 법적 등록: 유럽 내 법인 등록 및 금융감독기관 라이선스 필요 토큰 표준 준수: ERC-1400 또는 ERC-3643 등 증권형 토큰 표준 기반 KYC/AML 체계: 투자자 인증과 자금세탁방지 시스템 연동 실물 기반 자산: 실재 자산과의 연동 구조 요구 (부동산, 채권 등) 이 외에도 거래소별로 요구하는 기술 사양과 심사 절차는 상이하며, 운영 대상이 기관 투자자인지 소액 투자자까지 포함되는지에 따라 규제 요건도 달라집니다. ✔️ Archax (영국): FCA가 승인한 최초의 디지털 거래소 Archax는 영국 금융감독청(FCA)으로부터 3개 금융 라이선스(거래소, 보관, 유통)를 모두 취득한 최초의 디지털 자산 거래소입니다. 증권형 토큰의 상장 허용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법인 요건: 영국 내 법인 설립 또는 인정된 글로벌 파트너십 필요 토큰 요건: ERC-3643 필수, 유효한 KYC 기반 스마트컨트랙트 통합 감사 및 실물증빙: 자산 감정평...

ERC-3643 기반 STO의 유럽 ATS 유통 구조|데일리 블록체인

이미지
  ERC-3643 기반 STO의 유럽 ATS 유통 구조 ✔️ 유럽은 STO 실현에 가장 앞선 지역이다 디지털 자산의 제도화가 글로벌 트렌드로 자리 잡는 가운데, 유럽은 특히 증권형 토큰(STO) 분야에서 가장 빠르게 기술적·법적 인프라를 정비한 지역입니다. MiCA(Markets in Crypto-Assets Regulation)와 같은 포괄적 규제를 바탕으로, STO 발행과 유통을 위한 거래소인 ATS(Alternative Trading System)도 활발히 운영되고 있죠. 이러한 환경 속에서 유럽에서는 ERC-3643을 기반으로 한 STO가 실제로 디지털 거래소에서 유통되며, 제도권 투자자들에게 접근 가능한 자산군으로 기능하고 있습니다. ✔️ ERC-3643이 선택받는 이유 ERC-3643은 ERC-1400을 기반으로 한 진화형 토큰 표준으로, 규제 친화성과 유연성을 모두 갖춘 구조입니다. 특히 유럽 내 STO 규제에 맞춘 온체인 KYC, 투자자 유형 구분, 규제조건 기반 전송 제한 등의 기능을 스마트컨트랙트로 구현할 수 있다는 점이 큰 강점입니다. 국가별 규제 적용: 토큰 전송 시 국가 조건 필터링 DID 연동: 투자자 인증은 탈중앙 신원 기반으로 처리 모듈형 스마트컨트랙트: 기능별 분리 구현 가능 이러한 기술적 특성 덕분에 ERC-3643은 유럽 주요 디지털 거래소들의 사실상 ‘기본 토큰 표준’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 유럽 ATS에서의 유통 구조 유럽에서 ERC-3643 기반 STO가 유통되는 구조는 전통 금융 인프라와 블록체인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모델입니다. 주요 흐름은 다음과 같습니다. 토큰 발행사는 ERC-3643 기반의 스마트컨트랙트를 배포 투자자는 KYC를 통해 DID 지갑 등록 → 승인된 지갑만 거래 참여 가능 유럽 라이선스를 받은 디지털 거래소(ATS)에서 유통 시작 수익 배분, 지분 이전 등은 온체인 자동 처리...

STO 글로벌 토큰 표준: ERC-1400과 ERC-3643 비교|데일리 블록체인

이미지
  STO 글로벌 토큰 표준: ERC-1400과 ERC-3643 비교 ✔️ 증권형 토큰에는 ‘표준’이 필요하다 STO(Security Token Offering)는 단순한 디지털 자산이 아니라, 법적 권리(소유권, 배당권 등)를 내포한 ‘디지털 증권’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STO를 안전하게 발행하고 유통하기 위해선 일반적인 암호화폐와는 다른 특별한 기술 표준이 필요합니다. 이더리움 생태계에서는 이를 위해 증권형 토큰 전용 표준들이 개발되어 왔으며, 현재 가장 대표적인 두 가지가 바로 ERC-1400 과 ERC-3643 입니다. 두 표준은 공통적으로 증권형 자산에 필요한 기능을 스마트컨트랙트에 구현하고 있지만, 세부 구조와 시장 적용 사례에서 차이를 보입니다. ✔️ ERC-1400: 증권형 토큰의 ‘시작점’ ERC-1400은 2018년 개발된 증권형 토큰의 초기 표준으로, 기존 ERC-20과 ERC-777을 확장한 구조입니다.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파티션 기반 권리구분: 한 토큰 내에서 서로 다른 권리(예: 배당, 의결권)를 분리 오프체인 정보 연결: 토큰 보유자에 대한 추가 정보(off-chain data)와 연계 규제 적용 기반: KYC, AML 요건에 따라 거래 승인 여부 결정 가능 투명한 블랙리스트/화이트리스트 기능: 승인된 주소만 토큰 수령 가능 다만 ERC-1400은 표준의 범위가 넓고 다양한 옵션이 혼재되어 있어, 프로젝트마다 구현 방식에 차이가 생길 수 있다는 단점도 존재합니다. ✔️ ERC-3643: 실제 상용화를 위한 진화 ERC-3643은 ERC-1400의 확장판이자, 상업적 사용과 규제 호환성에 초점을 맞춰 설계된 표준입니다. 원래 T-REX(Token for Regulated Exchanges)라는 이름으로 시작되었으며, 2023년 공식적으로 ERC-3643으로 등록되었습니다.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