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가 발행되는 구조와 실제 절차|데일리 블록체인

 

STO가 발행되는 구조와 실제 절차

STO 발행 구조와 절차를 설명하는 썸네일 이미지


✔️ 증권형 토큰(STO)의 발행이란?

STO(Security Token Offering)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전통적인 증권을 디지털 토큰 형태로 발행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기존의 IPO(기업공개)나 ICO(Initial Coin Offering)와 달리, STO는 투자자 보호를 위해 명확한 증권 규제를 따르며, 국가별 금융감독기관의 승인을 필요로 합니다.

STO는 보통 기업의 지분, 채권, 수익 분배권 등 실제 가치를 가진 자산을 기반으로 하며, 해당 토큰은 법적으로 증권으로 분류됩니다. 즉, STO는 실물 경제와 연결된 디지털 자산의 한 형태로, Web3 시대의 합법적인 자금 조달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 STO 발행의 기본 구조

STO 발행은 여러 주체가 참여하는 복합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주요 참여자는 다음과 같습니다.

  • 발행자(Issuer): 자금을 조달하고자 하는 기업 또는 프로젝트
  • 법률 자문 및 규제 컨설팅: 해당 국가의 금융법과 증권법에 따라 발행 구조 설계
  • 토큰화 플랫폼: 자산을 디지털 토큰으로 발행하는 기술 플랫폼 (예: Polymath, Securitize)
  • 투자자: 개인 또는 기관 투자자들이 참여하여 STO 토큰을 구매
  • 규제기관: 증권 등록 및 승인 절차를 관할

이러한 구조 덕분에 STO는 단순한 기술 기반의 ICO와는 달리, 금융 시장에서 신뢰성과 합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습니다.


✔️ STO 발행 절차 단계별 설명

STO는 다음과 같은 절차를 통해 발행됩니다:

  1. 1. 사전 준비 및 법률 검토: 발행하고자 하는 자산 유형과 국가별 규제 요건 확인
  2. 2. 백서 및 발행 구조 설계: 투자 설명서와 토큰 발행량, 분배 방식, 권리 구조를 문서화
  3. 3. 규제기관 등록: 미국의 경우 SEC에 등록하거나 Reg D, Reg A+ 면제 요건 충족
  4. 4. 토큰 발행: 스마트 계약을 통해 토큰을 생성하고 보관 구조 설계
  5. 5. 판매 및 청약: 인증된 투자자를 대상으로 STO 참여 기회를 제공
  6. 6. 2차 유통 준비: 규제 승인을 받은 ATS(Alternative Trading System)나 DEX 상장 검토

이 과정을 통해 STO는 제도권 금융 시스템과 연결되며, 기관투자자의 유입도 가능한 구조를 갖춥니다.


✔️ 실제 사례: STO가 어떻게 활용되는가?

예시 1: 부동산 STO
미국의 ‘RealT’는 부동산을 소유 지분 단위로 나눠 STO를 통해 투자자에게 분배합니다. 투자자는 부동산 임대 수익에 대한 권리를 디지털 토큰으로 받습니다.

예시 2: 기업 채권 토큰화
유럽의 ‘SWARM’ 플랫폼은 기업 채권을 토큰화해 STO 형태로 발행하며, 기관투자자가 쉽게 접근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예시 3: 스타트업 자금 조달
한국의 일부 스타트업은 증권사와 협업하여 지분 토큰화를 시도 중이며, 금융규제 샌드박스에서 조건부로 STO 실험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 STO가 투자자에게 주는 의미

STO는 투자자에게 다음과 같은 장점을 제공합니다.

  • 실물 기반의 안전 자산에 접근 가능
  • 법적 보호 아래 투자할 수 있는 환경
  • 글로벌 시장에서의 24시간 거래 가능성
  • 토큰을 담보로 한 2차 금융 서비스 활용

즉, STO는 Web3 시대에도 투자자가 제도적 안정성을 확보하면서 디지털 자산에 투자할 수 있는 최적의 수단이 될 수 있습니다.



📌 다음 글에서는 STO 발행 이후의 유통 구조와 거래소 상장 방식에 대해 설명드릴 예정입니다.

댓글